S2. 50로그: 타워 빌라 프로젝트 │ 권태훈
차례
프롤로그: 연대기적 타워, 자전적 프로젝트
그 빌라와 이 빌라
우아한 시체
세 개의 파스티치오
창의적이고 영감을 주는 병치: 존 소안 경의 박물관
부디 건축적 심각함에 삶 전체가 매몰되지 않기를
푼크툼
50 로그
: 시작/ 콜라주가 아닌/ 명령어: 미러/ 제거된 문화적 의미/ 대칭형 평면/ 중앙 집중형 평면/ 입면에서 평면으로/ 진부한 구조체/ 팔라디안 파스티치오/ 허름하지만 성스러운/ 계단 없는 계단실/ 타워 빌라/ 연대기적 타워/ 고리타분하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무엇이 동네 빌라의 가치를 만드는가/ 취향 벽지/ 기하학적 평면/ 몽유도원도와 그리스 오더/ 몰딩, 샹들리에, 벽기둥, 아치/ 한 단어, 한 문장, 한 문단/ 불법 확장/ 슬래브집/ 디즈니랜드/ 슬래브 없는 슬래브집/ 원본과 변형/ 코리안 팔라디아니즘/ 무례한 디테일/ 루프탑과 옥탑방/ 검박한 장식들/ 스물여덟 장의 A4/ 장식 타워/ 의기소침한 도면/ 나선과 첨탑/ 집요함은 집착으로/ 빌라 로톤다의 귀환/ ‘서울, 기록의 감각’ 전/ 일관성이라는 감옥/ 우아한 시체/ 라멘과 포셰/ 검은 피부 하얀 가면/ 타워의 상층부/ 자전적 렌더링/ 일 레덴토레/ 도제의 궁전/ 양식의 혼종/ 흐릿해져가는 맥락/ 재해석을 재고한다/ 화해 불가라는 차이점들/ 끊어진 연대기성/ 미완성의 타워 빌라
지은이
권태훈은 건축을 전공하고 진아건축도시, 디자인캠프 문박 디엠피 등의 설계사무소에서 실무를 쌓았다. 2006년 제15회 김태수 장학제 수상자이며, 대한민국 건축사다. 2014년 ‘드로잉 리서치’를 설립하고 1950년대 이후 지어진 한국의 일상 속 건물들을 건축 도면 형식의 드로잉을 통해 읽어내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 결과물로 2017년 『파사드 서울』, 2020년 『빌라 샷시』를 출판했다. 또 다른 형식의 실천을 통해 한국 건축의 동시대성을 발견하고 기록하며, 레퍼런스의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TKTK PROJECTS
액세서리 — 프라우드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의 다양한 기능과 문화, 그리고 풍경을 담고 있는 요소에 주목한다. 이들은 분명 건축적인 요소와는 별개로 작동하는 구축 환경의 한 현상이다. 마치 건물에 덧입힌 것과 같은 액세서리가 어떻게 건축의 기능을 보완하고 도시의 풍경을 지배하는지 살펴본다.
ISBN 979-11-86058-32-9 구매처
화쟁(和諍) 그리기:
상상을 위한 분쟁지역 매핑 — 김동세
매핑이 한정된 해결책을 찾는 도구가 아닌 광범위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열린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건축적 사고와 방법에 기반한 화쟁의 매핑이 어떻게 광범위한 물리적, 시간적 스케일들을 다루며, 연구 대상 대지와 그와 관련된 쟁점들에 관한 대화를 어떻게 유발하는지 살펴본다.
ISBN 979-11-86058-33-6 구매처
50 로그:
타워 빌라 프로젝트 — 권태훈
한국 빌라를 배경으로 삶과 건축,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간극을 성찰하는 자전적 프로젝트. 추상적인 건축 개념과 구체적 일상의 충돌, 서구적 관념과 한국적 정서 사이에서의 고민을 담았으며, 미완의 ‘타워’를 통해 건축가로서의 정체성과 실천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ISBN 979-11-86058-36-7 구매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