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새책
      • └ .
      • └
      • └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 └문화예술멘토포럼
      • └건축영화 1902
      •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 └도쿄R부동산 이렇게 일 합니다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101
      • └해석과 착상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 └스쿨 블루프린트
      • └사람의가치
      • └신한옥 시리즈
      • └건축의덫(장편소설)
      • └건축평단
    • 행사 소식
    • 자료실
      • 도시건축
      • 건축가
      • 목차검색
      • ├와이드
      • ├건축가
      • └건축문화

검색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김원식

  • 텐이슈 토요집담회 - #9 역사의 현재화, 현재의 역사화 11/28/토

    2015.11.11 by 정예씨

  • [집담] 1st S.A.A.I 건축/Diverging

    2010.10.30 by 정예씨

텐이슈 토요집담회 - #9 역사의 현재화, 현재의 역사화 11/28/토

참가 신청 정림건축문화재단 http://www.forumnforum.com/xe/archives/13507 역사와 역사학을 마주하는 건축계는 두 가지 문제를 품고 있다. 하나는 거대한 스케일의 맥락적 의미를 지닌 현대건축문화의 흐름을 단숨에 파악하고 소화하기 불가능한 까닭에 이전의 역사는 물론 현재의 역사까지도 부족한 이해나 몰이해로 이어져 딜레마나 패러독스, 혹은 무가치한 건축물의 생산에까지 이르곤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역사 혹은 역사학 내부에서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역사학 자체를 건축과 관련되어 작동하는, 혹은 현실적으로, 실제적으로 작동가능한 시스템의 하나로 보느냐, 혹은 사변적이고 문화·고고학적인 태도로 접하느냐에 대한 갈등이다. 외견상, 실제에 있어 이 두 현상은 분리되었으나 상보적 관계로..

행사 소식 2015. 11. 11. 12:34

[집담] 1st S.A.A.I 건축/Diverging

EXIT, 한국건축의 길을 찾다_시즌2 : 6 Conversing Events 1st S.A.A.I 건축/ Diverging전시 : 2010.5.3-5.10집담회 : 2010.5.6패널 : 김원식, 문훈, 배형민, 이일훈 ‘한국건축의 길을 찾다’, 첫 번째 주자인 사이 건축은 동네 건축가를 지향한다. 그들이 동네라고 부르는 곳은 인디 밴드와 비보이들, 화실이나 아기자기한 카페가 모여 있는 홍대 앞. 사이 건축에게 그 곳은 어떤 특별한 도시의 한 부분이기 보다는 지극히 평범하고 일상적인 공간이다. 그들이 특별할 것 없다 느낄 정도로 동네와 닮아 있는 그들의 모습은 건축가로서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작업 방식과 태도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지하 전시장에 그대로 옮겨다 놓은 사이 건축의 사무실이 그 태도와 방..

자료실/건축가 2010. 10. 30. 23: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 Magazine Lab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