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새책
      • └
      • └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 └문화예술멘토포럼
      • └건축영화 1902
      •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 └도쿄R부동산 이렇게 일 합니다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101
      • └해석과 착상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 └스쿨 블루프린트
      • └사람의가치
      • └신한옥 시리즈
      • └건축의덫(장편소설)
      • └건축평단
    • 행사 소식
    • 자료실
      • 도시건축
      • 건축가
      • 목차검색
      • ├와이드
      • ├건축가
      • └건축문화

검색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 이애주(李愛珠)

    2024.11.08 by 정예씨

  • 양보경(楊普景)

    2024.11.08 by 정예씨

  • 박경립(朴耕立)

    2024.11.08 by 정예씨

  • 김화숙(金和淑)

    2024.11.08 by 정예씨

  • 윤시향(尹詩鄕)

    2024.11.08 by 정예씨

  • 정승희(鄭承姬)

    2024.11.08 by 정예씨

  • 유옥재(兪玉在)

    2024.11.07 by 정예씨

  • 신현숙(愼炫淑)

    2024.11.07 by 정예씨

이애주(李愛珠)

이애주(李愛珠) 7살(1954)부터 ‘이왕직 아악부’(국립국악원의 전신)의 아악수장 김보남으로부 터 춤을 익혔다. 서울대학교 진학 후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초대 보유자인 벽사(碧史) 한영숙(1920~1989)을 사사했으며, 1996년에 스승을 이어 2대 예능보 유자로 지정되었다. 이로써 전통춤의 뿌리이자 원류인 한성준(1874~1941) 선생과 손녀 한영숙으로 이어져온 전통춤(승무, 살풀이춤, 태평춤, 학춤)을 계승하는 한국 무용사의 큰 맥이 되었다. 학술적 연구도 중요하게 여겨 한국 전통춤을 체계적으 로 정리하는 한편, 선생 자신이 한성준-한영숙으로 이어받은 전통춤의 본질과 정 신을 역사적으로 조명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1984년 춤패 ‘신’을 결성하여 「나눔굿」, 「도라지꽃」 등을 창작 ..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8. 05:00

양보경(楊普景)

양보경(楊普景) 서울에서 태어나 성신여자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학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역사지리학 · 문화지리학 · 한국지리학사를 전공하며, 조선시대 읍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단절된 한국의 역사지리학, 전통지리학의 재발견에 천착하였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에서 ‘문화발전10개년계획’을 세우는 데 참여하고 한 국의 문화정책과 문화행정,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근무하며 한국의 문화유산의 깊이를 보게 되었다. 지리지, 한국 및 서양 고지도, 실학적 지리학, 전통시대의 자연 인식, 백두산과 백두대간, 서울 등 지역, 지명과 영토, 접경지역, 역사지리정보시스 템(HGIS) 등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업적으로 〈조선시대의 자연인식..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8. 04:00

박경립(朴耕立)

박경립(朴耕立)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건축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립강원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와 한국전통문화대학 교 국제문화유산 협동과정 석좌교수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창의도시 명예자문 위원장, 회관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집행위원, 문화 · 정보커뮤니케이션분과 위원장, ICOMOS 이사와 감사로 활동하였다. 건축역사와 건축설계를 강의하였으며, 지역의 전통건축을 채록하고 문화적 정 체성 규명과 창의적으로 보존, 계승하는 일을 해왔다. 국가중요민속문화재인 고성 왕곡마을을 비롯한 한국 민속마을 보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하여 연구하였으 며, 출판사 「일조각 사옥」을 비롯하여 「광덕마을 공동체 펜션」 등을 설계하였다. 건축가의..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8. 03:00

김화숙(金和淑)

김화숙(金和淑) 1971년 11월 명동 국립극장에서 첫 개인 발표회 「법열의 시」로 데뷔하였다. ‘김 복희·김화숙현대무용단’을 창단하여 20년 동안(1971~1991) 김복희와 공동으로 36편의 작품을 발표하고 《김복희·김화숙 춤 20년》을 발간했다. 아울러 1985년 전 북지역에서 ‘김화숙&현대무용단사포’를 창단하였고 예술감독을 맡아 57편의 작 품을 발표하였다. 지금까지 발표한 작품이 총 90여 편에 이르는데 김화숙&현대무 용단사포의 30년 작품활동을 담은 《사포의 시간 1985~2015》과 40년의 작업을 정 리한 《춤이 있어 외롭지 않았네》를 출판하였다. 《세계현대무용사전(International Dictionary of Modern Dance)》(1998)과 《세계 춤 사전(The Oxford ..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8. 02:00

윤시향(尹詩鄕)

윤시향(尹詩鄕) 함경북도 무산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논문 〈브레히트의 반파시즘 연극연구〉(1991)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연수, 베를린 자유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한국브레히트학회 회장, 한국여성연극헙회 공동대표,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이사, 한국공연예술원 원장, 한국뷔히너학회, 헤세학회 편집위원, 한국 I.T.I. 감사 등을 역임했다. 출판물로 《브레히트의 연극세계》, 《하이너 뮐러의 연극세계》, 《15인의 거장들》, 《독일문학의 장면들》, 《서사극의 재발견》, 《유럽영화예술》, 《소리》 등의 공동저서가 있고, 《당나귀 그림자에 대한 재판》, 《어두운 밤 나는 적막한 집을 나섰다》, 《그때 이미 여우는 사냥꾼이었다》, 《시체들의 뗏목》, 《메데이아..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8. 01:00

정승희(鄭承姬)

정승희(鄭承姬) 1958년 김백봉 문하생으로 입문한 이후, 본격적으로 무용의 길에 들어섰으며, 그 후 한영숙에게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등을 배우면서 우리 춤 멋에 심취하여 우리 춤의 뿌리 찾기 작업을 병행하였고, 한영숙류 춤 맥을 이어가고 있다. 〈동아일보〉 주최 제2회 무용콩쿠르(1965)에서 금상을 수상하면서 무용계의 신예로 등장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무용 전문교육’(1963)을 실시한 이화여 대 무용과 1회 졸업생으로, 학사 · 석사 출신으로는 최초로 27세에 상명대학교 무 용 전공 교수로 발탁되었고, 1996년부터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로 재직 하면서 한국무용의 발전에 헌신하였다. 1974년 정승희의 첫 번째 창작 작품 「심청전」은 한국 춤을 현대화한 새로운 시 도였으며, 그 실..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8. 00:00

유옥재(兪玉在)

유옥재(兪玉在) 현재 강원대 무용학과 명예교수.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무용 전공으로 이 학박사를 취득하였으며, 31년간 강원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옥조근정 훈장을 수훈하고 지역 문화 발전에 헌신했다. 김백봉 ‘춤’ 보전회 2대 회장과 한국 무용협회 강원도 지부장을 역임했다. 제1회 전국무용제 단체상(장려)과 개인상(연기)을 수상했으며, 중국 세계민속 예술제 단체상(은상), 개인상(안무)을 받았다. 또한 강원도 문화상 전통예술 부문 과 1999 동계 아시안게임 개 · 폐회식 안무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강원도 문화 상을 수상하였으며,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김백봉 부채춤’을 이수하였다. 주요 공연 활동으로는 디종 페스티벌, 피레네 국제민속축제(프랑스), 세계 타이 난 드럼 페스티벌(타..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7. 23:00

신현숙(愼炫淑)

신현숙(愼炫淑) 덕성여대 명예교수. 이화여대 불문과를 졸업한 후, 프랑스 브장송 대학에서 ‘장 지도루 연구’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 서울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강 사를 지냈으며, 한국연극학회 부회장, 한국기호학회 편집위원, 한국 국제극예술협 회 이사, 국제대학연극학회(AITU) 한국 대표 등을 역임했다. 생태주의 연극을 개 척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6 여석기 연극평론가상’을 받았다. 저서로 《희곡의 구조》, 《초현실주의》, 《20세기 프랑스 연극》, 《한국현대극의 무 대 읽기》, 《아르또와 잔혹연극론》, 《한국연극과 기호학》(공저), 《연극기호학》, 《연 극학 사전》, 《공연의 기호》 등이 있다.

새책/└문화예술멘토포럼 2024. 11. 7. 22: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 Magazine Lab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