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새책
      • └
      • └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 └문화예술멘토포럼
      • └건축영화 1902
      •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 └도쿄R부동산 이렇게 일 합니다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101
      • └해석과 착상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 └스쿨 블루프린트
      • └사람의가치
      • └신한옥 시리즈
      • └건축의덫(장편소설)
      • └건축평단
    • 행사 소식
    • 자료실
      • 도시건축
      • 건축가
      • 목차검색
      • ├와이드
      • ├건축가
      • └건축문화

검색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새책

  • [매경] 日 인구 줄지만…도쿄도심은 늘어

    2017.04.24 by 정예씨

  • [안내] 건축평단 과월호 30% 할인

    2017.04.06 by 정예씨

  • [건축사신문] 진화를 거듭하는 한옥 - 신한옥의 미래

    2017.02.20 by 정예씨

  • [한겨레] 우리도 일본처럼⋯? 늘어나는 빈집들 왜

    2017.02.13 by 정예씨

  • [서울연구원] 서울에는 빈집이 얼마나 있을까? (서울인포그래픽스 제218호)

    2017.02.13 by 정예씨

  • 6 신한옥 1,000일간의 관찰기록 - 지신재와 화경당

    2016.12.21 by 정예씨

  • 서울 학교건축, 디자인 위주로 사업자 선정한다

    2016.10.05 by 정예씨

  • [스쿨 블루프린트] 천 개의 고원 앞에서

    2016.07.21 by 정예씨

[매경] 日 인구 줄지만…도쿄도심은 늘어

日 인구 줄지만…도쿄도심은 늘어 재개발에 편의시설도 늘어 교외보다 살기 편하다 인식 지요다구 인구 8년새 50%↑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234901 일본 인구가 매년 약 30만명씩 감소하고 있는 와중에 도쿄 중심구 3개 구의 인구는 급속히 늘어나는 기현상 이 벌어지고 있다.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쿄 중심부 지요다구 인구가 36년 만에 6만명(4월 1일 현재)을 넘어선 것 으로 조사됐다. 1999년 4만명 밑으로 떨어졌던 때와 비교하면 50%나 급증한 셈이다. 기업 본사와 관공서 가 몰려 있는 지요다구는 한국으로 치면 종로구에 해당한다. 지요다구와 맞닿은 주오구 인구도 올해 초 15만명을 넘었고, 2025년에는 20만명까지 불어날 것..

새책/└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2017. 4. 24. 11:59

[안내] 건축평단 과월호 30% 할인

건축평단 과월호 구입 방법 출판사에서 구입 — > https://goo.gl/forms/T17BvA7Av9pnRuWY2 알라딘에서 구입 ——> http://www.aladin.co.kr vol.1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창간호) 품절 vol.2 건축가는 누구인가 / 세월호 이후의 건축 vol.3 건축작품의 판단 / 젊은 건축, 젊은 건축가 vol.4 건축의 한국성 / 건축의 한국학파'들' vol.5 건축의 힘 / 전통(건축)의 해석과 고유성 vol.6 건축의 이론과 실천 / 건축비평집담 승효상 vol.7 설계경기 / 2016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한국건축의 최전선 '용적률 게임' 품절 vol.8 도시 리얼리티 / 건축비평집담 김정주+윤웅원 문의 : 070-4067-8952 / book.jeongye@gma..

새책/└건축평단 2017. 4. 6. 14:58

[건축사신문] 진화를 거듭하는 한옥 - 신한옥의 미래

제212호 10면 2017-01-24 17:02:38 입력 [신간소개] 新한옥 1,000일간의 관찰기록, 지신재와 화경당조정희 기자(archinewsnet@hanmail.net) 한옥기술개발연구단의 한옥기술개발 첫 단계 결과물인 명지대학교 실험한옥 ‘지신재’와 은평 한옥마을 시범한옥 ‘화경당’을 3년 반 동안 관찰한 기록물이다. 공사비 절감과 따뜻한 한옥을 목표로 새로운 공법과 재료로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 그 결과를 검증하여 한옥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책은 크게 4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1부는 ‘新한옥, 1000일간의 관찰 개요’이다. 신한옥이란 무엇이며, 왜 등장할 수밖에 없었는지, 지신재와 화경당을 어떻게 모니터링 할 것인지 나타내고 있다. 전통한옥과 신한옥을 사진과 함께 표로 비..

새책/└신한옥 시리즈 2017. 2. 20. 15:13

[한겨레] 우리도 일본처럼⋯? 늘어나는 빈집들 왜

2017. 2. 13.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2225.html

새책/└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2017. 2. 13. 11:38

[서울연구원] 서울에는 빈집이 얼마나 있을까? (서울인포그래픽스 제218호)

서울에는 빈집이 얼마나 있을까? (서울인포그래픽스 제218호) 출처 : 서울연구원 https://www.si.re.kr/node/56694/ 2015년 서울의 빈집은 약 7만 9천 호, 강남구(1만 2천 호)에 가장 많아 2015년 11월 기준 서울의 빈집은 약 7만 9천 호로 전체 주택(약 280만 호)의 2.8% 차지, 1995년(4만 호) 이후 점점 증가하다 10년 전(2005년)부터는 7만 9천 호 내외를 유지 자치구별 빈집 수는 강남구가 1만 2천 호(14.9%)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서대문구에 7천 호(8.9%), 강서구에 6천 호(7.0%), 강동구에 5천 호(6.9%) 순 표1 . 서울시 연도별 빈집 현황 (단위: 호) 연도19952000200520102015빈집39,80656,642..

새책/└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2017. 2. 13. 11:07

6 신한옥 1,000일간의 관찰기록 - 지신재와 화경당

저자 김왕직, 조현정발간일 2016.11.15 페이지 176정가 12,000원 ISBN 9791186058107 (PDF) 新한옥 1,000일간의 관찰기록지신재와 화경당 이 책은 한옥기술개발 연구단에서 실증사업으로 구축한 명지대학교 내 지신재와 은평 한옥마을 화경당을 3년 반 동안 관찰한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지신재와 화경당은 한옥기술개발 첫 단계 결과물로서 공사비 절감과 따뜻한 한옥을 목표로 새로운 공법, 새로운 재료, 새로운 공간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그 결과를 검증하고 장점과 단점을 살펴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잡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신한옥이란 한옥(전통한옥)에 새로운 요소(新)를 가미한 개념이다. 이것은 전통한옥은 현대생활을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어서 이를 추가 또는 개선한다는 개념이 내..

새책/└신한옥 시리즈 2016. 12. 21. 14:01

서울 학교건축, 디자인 위주로 사업자 선정한다

남양주 동화고의 삼각학교, 중에서, 사진 : 노경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30/0200000000AKR20160930162900004.HTML?input=1179m 서울 학교건축, 디자인 위주로 사업자 선정한다 송고시간 | 2016/10/03 09:00 가격입찰→설계공모 중심으로 개편…학교건물 기능성·심미성 제고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서울시교육청이 학교를 신축할 때 입찰 최저가격을 중시해 업체를 선정하던 방식을 벗어나 우수한 디자인 시안을 낸 곳을 우선으로 사업시행자로 선정하기로 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천편일률적인 학교 건물의 외관에 변화를 줘 학교 공간의 기능성·심미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서울시교육청은 3일 '서울교육 공간 디자인..

새책/└스쿨 블루프린트 2016. 10. 5. 13:14

[스쿨 블루프린트] 천 개의 고원 앞에서

‘천 개의 고원’ 앞에서박길룡 /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명예교수 네임리스와 이 글을 쓰는 사람은 나이 차이가 조금 난다. 그와 나는 학연이나 지연이 있는 것도 아니고 두 해 전만 해도 피차 잘 몰랐다. 그런데 2014년 이후 이상하게 그와 자주 부딪친다. 무슨 이해에 얽힌 것도 아니고, 공유하는 일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콩쿠르의 심사에서, 길에서, 세미나에서, 그의 건축 현장에서 자꾸 만난다. 이 조우에 어떤 개연성이 있을지 모른다. 나는 요즈음 한국 현대 건축을 현장 학습하는 중이고, 그는 한창 젊은 건축가의 행보를 펼치는 중이다. 그러니까 네임리스와 내가 만나는 것은 그만큼 그는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었으며, 그는 그동안 우리와의 조우의 확률을 높여가고 있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해 그는 대단..

새책/└스쿨 블루프린트 2016. 7. 21. 15: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 Magazine Lab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