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새책
      • └
      • └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 └문화예술멘토포럼
      • └건축영화 1902
      •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 └도쿄R부동산 이렇게 일 합니다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101
      • └해석과 착상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 └스쿨 블루프린트
      • └사람의가치
      • └신한옥 시리즈
      • └건축의덫(장편소설)
      • └건축평단
    • 행사 소식
    • 자료실
      • 도시건축
      • 건축가
      • 목차검색
      • ├와이드
      • ├건축가
      • └건축문화

검색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플로팅 온 한강 Floating on the Han River

    2010.04.29 by 정예씨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이디어 공모전 - 5개 최우수작

    2010.04.29 by 정예씨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이디어 공모전 리뷰

    2010.04.28 by 정예씨

  • 마침내 나는 쓰기를 그만두고 강으로 나갑니다

    2010.04.22 by 정예씨

  • Gunkanjima: A victim of globalization?

    2010.04.20 by 정예씨

  • 개구장애

    2010.04.08 by 정예씨

  • Archiculture documentary film wins 2010 Brunner Grant

    2010.04.07 by 정예씨

  • 건축리포트<와이드> 2010년 3-4월호, vol.14

    2010.03.15 by 정예씨

플로팅 온 한강 Floating on the Han River

또 다시 한강이 우리 삶의 중대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 중심에는 한강에서 일어나는 건축 행위가 삶에 어떻게, 얼마만큼 영향을 줄 것인가가 있다.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것들은 뱃길과 연관성, 그리고 한강 활성화로 기대되는 경제적 가치, 생태계와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 정도로 오히려 다른 의미나 가치는 묻혀 버리곤 한다. 한강이 88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정비되면서 강북 강변과 강남 강변을 얻었고, 한강 둔치에서 인근 사람들이 사는 곳까지 5백 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고 토끼굴을 통해서만 접근 할지언정, 사람들은 소소한 일상들을 그 강변에서 보내왔다. 그리고 다시 시작된 재정비는 한강의 르네상스를 꿈꾸고 있다. 시민들에게 한강을 되돌려주기 위해. 그 하이라이트에는 인공섬이 있고 대대적인 재정비와 함께 한강의 풍..

자료실/도시건축 2010. 4. 29. 23:3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이디어 공모전 - 5개 최우수작

5개 팀 최우수작 리뷰 문화개념의 전복, 외부화된 화이트 큐브'홍익대 김주원+진우건축 김동훈’의 안으로 ‘화이트 큐브(White Cube)’를 핵심 개념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미술관에서 ‘화이트 큐브’가 중성적이고 작품의 배경이 되는 미술관의 실내 공간을 의미한다면, 여기서는 소통하는 ‘중정’과 ‘광장’을 가리킨다. 도심의 문화와 도시적 맥락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배경으로서 화이트 큐브인 것이다. 이 ‘화이트 큐브’는 가로, 세로 약 78m의 정방형 중정으로, 백색 열주와 백색 노출콘크리트, 강화 유리로 마감된다. 이 백색의 공간은 주변 길들을 대지 내로 유입, 소통시킬 수 있도록 대지 중앙에 위치하며, 야외 전시공간이자, 지하 전시실에서 산란광을 받아들이는 천창 역할을 한다. 광장을 중심으로 전시실..

자료실/도시건축 2010. 4. 29. 03:4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이디어 공모전 리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건립이 가시화 되고 있다. 서울관 건축의 방향성을 가늠할 1차 아이디어 공모에서 선정된 수상작이 발표되었고, 공모작 전체가 공개되었다. 서울관 건립 예정지인 옛 국군기무사령부에서 있었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축설계 아이디어 공모 출품작’ 전은 공모작의 패널을 비롯 설계설명서를 20여 일간 전시한 바 있다. 최우수작 5개의 아이디어는 아디어의 기본 방향을 유지하면서 심사위원들과 미술관 측의 지적과 권고 사항을 반영하여 2차 건축설계경기에서 구체적인 설계안을 제시하게 된다. 앞으로 2차 건축설계 경기를 거쳐 5월말 최종 안이 확정되면, 곧 이어 9월말 공사 시작하여 2012년 12월 완료할 것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측은 전하고 있다. 1차 공모에서 최우수작으로 선정된 팀은 MP ART..

자료실/도시건축 2010. 4. 28. 23:30

마침내 나는 쓰기를 그만두고 강으로 나갑니다

마침내 나는 쓰기를 그만두고 강으로 나갑니다. 나는 바위에 앉습니다. 비린 내음을 풍기며 강물이 철철철 흘러갑니다. 세상은 어느 만큼 살았으며, 세상 흐름을 얼마쯤 내다볼 줄 아는, 죽은 자들과 대면할 시간도 얼마 남지 않은 나는 흐르는 물을 붙잡으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그것을 붙잡으려고 하는 순간에 강물은(혹은 시간은) 사라져버리겠지요. 그런데도 내 시들은 그런 시간을 잡으려고 꿈꾸는 것인지도 모르지요. 최하림 전집 서문 말미에.

카테고리 없음 2010. 4. 22. 17:23

Gunkanjima: A victim of globalization?

Gunkanjima: A victim of globalization? SNOW Magazine puts the industrial ruins on this forgotten Nagasaki island into a wider historical perspective The island Gunkanjima looks even more dramatic taken from a toy camera. (Photo by Flickr user Ishida Naoki) Gunkanjima ("Battleship Island") -- the common nickname for Hashima island off of Nagasaki -- is possibly the most epic haikyo (ruins) site i..

자료실/도시건축 2010. 4. 20. 15:19

개구장애

우리는 저마다 장애를 타고 났다. 말 하지 못하는 이들의 말 하지 못하는 것들을 위하여.. - 부활 1주일

카테고리 없음 2010. 4. 8. 00:30

Archiculture documentary film wins 2010 Brunner Grant

The winner of the 2010 Arnold W. Brunner Grant is the documentary film Archiculture, co-produced and co-directed by Ian Harris and David Krantz. Click here to read a brief interview with the filmmakers following the Grant win, and click here to read an interview with the filmmakers on Archinect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over two years ago. Archiculture documentary film wins 2010 Brunner ..

자료실/도시건축 2010. 4. 7. 23:30

건축리포트<와이드> 2010년 3-4월호, vol.14

Wide Work 조성룡 집담회ㅣ새로운 관계, 드러난 풍경ㅣ조성룡, 김주원, 최춘웅 wIde Issue 1 흙건축의 오늘-생명을 살리고 관계를 살리는 살림집 프롤로그ㅣ세상살립집-흙건축 흙건축의 오늘ㅣ김순웅 이일우의 비야리 주택, 해안당 2010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 심사평ㅣ이충기 황계주 교수 인터뷰ㅣ나는 지금 흙으로 프러포즈 중! wIde Issue 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이디어 공모전 리뷰ㅣ강권정예 5개 팀 최우수작 리뷰 wiDe Depth report 강병국의 도시의 기록자 이용재의 전라병영성 하멜 기념관 손장원의 담배 이야기 작업실 탐식, 세노 갓파 지음ㅣ안철흥 당신의 별점은? 송승훈 선생의 꿈꾸는 국어 수업, 덕수궁 함성호의 지금 집이 없는 사람은 이제 집을 짓지 않습니다. 이종건의 백지영과 ..

자료실/├와이드 2010. 3. 15. 01: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6
다음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 Magazine Lab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