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새책
      • └
      • └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 └문화예술멘토포럼
      • └건축영화 1902
      •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 └도쿄R부동산 이렇게 일 합니다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101
      • └해석과 착상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 └스쿨 블루프린트
      • └사람의가치
      • └신한옥 시리즈
      • └건축의덫(장편소설)
      • └건축평단
    • 행사 소식
    • 자료실
      • 도시건축
      • 건축가
      • 목차검색
      • ├와이드
      • ├건축가
      • └건축문화

검색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1961년 <건축가> 1961년 4월호~1969년

    2011.01.01 by 정예씨

  • [최-페레이라 건축] 최성희+로랑 페레이라

    2010.12.30 by 정예씨

  • [D•Lim 건축] 임영환 + 김선현

    2010.12.30 by 정예씨

  • 문화로 아름답고 행복한 학교 만들기

    2010.12.20 by 정예씨

  • 대한민국 원주민 ‘하야리아’에 다시 정착할 것인가

    2010.11.30 by 정예씨

  • 건축리포트<와이드> 2010년 11-12월호, vol.18

    2010.11.15 by 정예씨

  • APAP2010, 현대 도시의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웅변

    2010.10.31 by 정예씨

  • [집담] 1st S.A.A.I 건축/Diverging

    2010.10.30 by 정예씨

1961년 <건축가> 1961년 4월호~1969년

1961년 4월 창간호 협회연혁 창간변 임원명단 이사회일지-제1회~제9회 연석회의-건축사법 통의를 위한 삼회 연석회의 회원동정 잡보 소위원회-각 분과위원회의 활동상황 U.I.A-제6회 대회에 보내는 레포트 논문-한국 병원건축의 현황 1963년 vol 1 권두언 뉴스 건축에 있어서의 Locality-정인국 Water Gropius 회견기-이동진 산업이라는 건축-서승구 도시계획과 건축-한정섭 Louis I kahn의 사상과 철학-윤정섭 역 편집위원 이문조, 박태성, 윤정섭, 성익환, 이해성 1964년 vol 2 1964년과 한국건축가협회-김희춘 뉴스 회원동정 자가반성-편집위원회 1963년 협회의 활동, 발전사-정인국 건축사법에 대한 앙케이트-김동규, 손중모, 이승우, 최창규, 성익환, 박태성, 한정섭 이백길..

자료실/├건축가 2011. 1. 1. 00:00

[최-페레이라 건축] 최성희+로랑 페레이라

최-페레이라 건축의 작업은 개별 프로젝트가 처한 도시, 경제, 사회적 맥락들에서 모티브를 얻는다. 실험실에서 여러 인자와 재료들을 가지고 실험하듯 작업을 진행한다. 그들은 건축을 만들어내는 마술과 같은, 또는 기계와 같은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결과적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건축의 이상이나 개념들도 프로젝트가 처해 있는 물리적 현실과 함께 하게 되며, 개별 프로젝트마다 어느 시점에 재료와 공간이 바뀌면 개념과 건축적 이상도 수정한다. 그래서 그들이 그들의 건축과 갖는 관계는 매우 개인적이며 개별적이다. 그들이 작업하는 방식은 마치 19세기까지의 장인들과도 닮아있다 볼 수 있으며, 그들이 생각하는 건축가의 역할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늘 그래왔듯이, 아름답고 의미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20..

자료실/건축가 2010. 12. 30. 00:00

[D•Lim 건축] 임영환 + 김선현

디림(D•LIM; Design & Life in Mind) 건축에게 건축 철학은 섣불리 말하기 조심스럽고 앞으로의 가능성으로 남겨두는 부분이다. 어떤 생각을 갖고 작업에 표현해야 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리고 그들은 철학이라는 것 대신에 도시와 건축이 지나친 장식과 쉽게 빨리 변하는 트렌드를 좇는 것이나 건축물의 지속성에 대해 생각지 않는 것에 대한 반감과 문제 의식을 갖는다. 또한 건축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같은 것들을 견지한다. 그리고 그것을 건축가가 줄 수 있는 건축의 메시지로도 설명한다. 그들에게 건축적 메시지는 건축이 오래 남아 있도록 해주는 것이며, 건축가 스스로가 느끼는 자부심과도 같은 것이다. 그들이 말하는 건축적 메시지는 늘 두 가지 시선을 유지하면서 만들어진다. 지속..

자료실/건축가 2010. 12. 30. 00:00

문화로 아름답고 행복한 학교 만들기

인간의 생애사에서 평균 12년, 하루의 절반 이상을 보내는 곳, 일터라면 정년 퇴임까지 30여 년의 시간을 보내는 곳, 바로 학교다. 사회화가 시작되고 가치관이 형성되며, 심성을 다지고 심미안을 보고 배우며 기르는 공간 역시 학교이다. 그래서 학교 건축의 설계는 주거만큼이나 인간에게 중요하고, 우리는 제대로 된 먹거리만큼 아이들에게 가짜가 아닌 진짜의 세상을 이야기해 줘야 할 필요가 있다. 건축가들은 그만큼 중요한 학교를 제대로 새로 짓는 대신, 학교의 후미지고 후줄근한 공간들을 찾아, 마치 게릴라처럼 바꿔 들어 간다. 그 동안의 학교 건축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일은 대부분 물리적인 건축물 위주로만 진행되어 왔다는 지적에 이르러, 교육 환경에 관계된 다양한 입장의 사람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찾..

자료실/도시건축 2010. 12. 20. 06:00

대한민국 원주민 ‘하야리아’에 다시 정착할 것인가

FOCUS 10 대한민국 원주민 ‘하야리아’에 다시 정착할 것인가 한반도 내 미군기지 101곳, 총 면적 73,404,486m2 (미 국방부 자료), 서울, 경기 지역에만 6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운데 반환되거나 통폐합 이전되는 미군기지는 62곳, 현재 23곳이 1라운드 협상으로 먼저 마무리되었으며, 서울의 용산 기지를 비롯한 나머지가 2라운드 협상을 앞두고 있다. - 녹색연합 발간 자료 요약 발췌 지난 10월 ‘캠프 하야리아(Kamp Hiaeah)’에서는 ’하야리아의 과거, 현재, 미래’ 전이 한 달간 열렸다. ‘하야리아 공원 포럼’을 비롯해 지역의 학교와 단체가 준비한 이 전시는, 방대한 사료와 기록을 바탕으로 ‘하야리아’ 이전의 모습들을 그려내었다. 하야리아의 의미를 진단하는 도시 건축 전문가..

자료실/도시건축 2010. 11. 30. 06:00

건축리포트<와이드> 2010년 11-12월호, vol.18

WIDE Architecture Report, bimonthly 통권 18호, 2010년 11-12월호 Wide Work 건축가 이기옥 작품 | 안국빌딩 신관 리노베이션 인터뷰 | 이기옥, 김종헌 wIde Issue 1 문화로 아름답고 행복한 학교 만들기 학교가 죽어가고 있다 | 강권정예 인터뷰 | 건축가들은 왜 학교로 갔는가 | 김주연, 김현진, 오영욱, 윤남희, 이소진, 현군출 프로젝트 | 순천 성남초등학교, 안산 삼일초등학교, 제주 표선초등학교, 대구 영화학교, 서울 경복여자고등학교, 서울 대청중학교 wIde Issue 2 헤리티지 투모로우 프로젝트 2 헤리티지 투모로우 프로젝트 2 | 한옥과 한옥 사이, 정주(定住)를 위한 집과 길 좌담 | 정주, 서촌 그리고 도시한옥 | 김광현, 김승회, 송인호..

자료실/├와이드 2010. 11. 15. 00:30

APAP2010, 현대 도시의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웅변

Wide Focus08 APAP2010, 현대 도시의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웅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마을이고, 상호 호혜적 관계를 맺어가는 이웃의 형성이다. 인간이라는 생물적 존재의 생존은 기본적으로 소통과 나눔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언어를사용하고 서로를 돌보는 마을을 가지고 협동함으로써 인류는 꽤 오랜 기간 지구상에서 잘 살아왔다.” (다시 마을이다. p.142) 문화인류학자 조한혜정의 얘기 속에서 몇 가지 위로와 함께 의구심을 느낀다. 인간의 지친 희망이 마을이라는 공간과 이웃이라는 커뮤니티에서 치유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 있다. 그리고 이 위험하기 짝이 없는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대안을 가질 수 있으리라는 위로를 받지만, 마을과 같이 자연발생적인 조절 원리를 거스를 수 밖에 없는 도시..

자료실/도시건축 2010. 10. 31. 23:30

[집담] 1st S.A.A.I 건축/Diverging

EXIT, 한국건축의 길을 찾다_시즌2 : 6 Conversing Events 1st S.A.A.I 건축/ Diverging전시 : 2010.5.3-5.10집담회 : 2010.5.6패널 : 김원식, 문훈, 배형민, 이일훈 ‘한국건축의 길을 찾다’, 첫 번째 주자인 사이 건축은 동네 건축가를 지향한다. 그들이 동네라고 부르는 곳은 인디 밴드와 비보이들, 화실이나 아기자기한 카페가 모여 있는 홍대 앞. 사이 건축에게 그 곳은 어떤 특별한 도시의 한 부분이기 보다는 지극히 평범하고 일상적인 공간이다. 그들이 특별할 것 없다 느낄 정도로 동네와 닮아 있는 그들의 모습은 건축가로서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작업 방식과 태도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지하 전시장에 그대로 옮겨다 놓은 사이 건축의 사무실이 그 태도와 방..

자료실/건축가 2010. 10. 30. 23: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6
다음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 Magazine Lab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