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새책
      • └
      • └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 └문화예술멘토포럼
      • └건축영화 1902
      •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 └도쿄R부동산 이렇게 일 합니다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디자인101
      • └해석과 착상
      •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중개합니다: 도쿄R부동산
      • └스쿨 블루프린트
      • └사람의가치
      • └신한옥 시리즈
      • └건축의덫(장편소설)
      • └건축평단
    • 행사 소식
    • 자료실
      • 도시건축
      • 건축가
      • 목차검색
      • ├와이드
      • ├건축가
      • └건축문화

검색 레이어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물건 감정에서부터 상품 기획, 설계, 집객까지

    2023.09.27 by 정예씨

  • Accessories of Architecture - PRAUD : Dongwoo Yim, Rafael Luna

    2023.09.27 by 정예씨

  • Why, What, How do I Map? - Dongsei Kim

    2023.09.27 by 정예씨

  • Architecture Beyond Buildings

    2023.09.27 by 정예씨

  • [Interview] KBS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말하는 15분 도시는?

    2023.09.26 by 정예씨

  • 책 내용 요약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03.15 by 정예씨

  • 사람과 환경을 생각하는 도시 개념 - 15분 도시, 30분 영토

    2023.03.15 by 정예씨

  • [Book reviews] 문화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이데일리

    2023.03.15 by 정예씨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 물건 감정에서부터 상품 기획, 설계, 집객까지

일본에 리노베이션이 퍼지기 시작한 지 한 20년쯤 되었을까? 리노베이션을 처음 사업화한 것이 1998년이었고, 당시 건축 부동산을 전문으로 하는 리노베이션 회사가 달리 없었으니 업계에서도 상당히 앞선 시도였다고 자부한다. 초기엔 유행에 민감한 30대를 위주로 오래된 집, 특히 아파트를 고쳐 사는 붐이 일었고, 뒤이어 임대 아파트의 리노베이션 바람이 부동산 소유주나 개발업자들에게도 불었다.지금은 폐교를 앞둔 초등학교처럼 공공시설이나 공공 공간까지 확대되어, 단일 건물의 재생에서 마을 만들기까지 아우르는 ‘도시 재생의 히든카드’처럼 쓰인다. 지체 없이 건물을 철거하고 토지 활용방 안만 고민하면 되던 때가 있었지만, 이제 안이한 신축이나 재개발로는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음을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이다.그렇다..

새책/└ 부동산 리노베이션 기획 2023. 9. 27. 16:25

Accessories of Architecture - PRAUD : Dongwoo Yim, Rafael Luna

건축에서 도외시했던 요소들이 만들어내는 건축의 모습, 도시의 풍경, 그리고 이들을 통한 건축의 가변성 액세서리는 때로는 건축적 프로그램을 만들어내기도 하며, 설비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하나의 건물은 착용하는 액세서리에 따라 공장이 될 수도, 카페가 될 수도, 또 교회가 될 수도 있다. 똑같은 근생 건물이지만 옥상에 교회종탑이 설치되면, 그 근생은 하루아침에 교회가 된다. 그러다가 교회가 나가고 고깃집이 들어서면, 종탑은 사라지고 대신 무수히 많은 덕트가 벽면을 타고 오른다. 건축의 요소는 단 하나도 바뀌지 않았지만 액세서리로 인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담게 되는 것이다. 액세서리는 때때로 건물의 기능을 떠안는다. 건물이 해결하지 않는 공조를 맡아 냉난방기가 설치되고 실외..

새책/└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2023. 9. 27. 15:45

Why, What, How do I Map? - Dongsei Kim

나는 무엇을, 어떻게, 왜 매핑을 하는가 ? “저거 뱀이야?” 두 살배기 아들이 내 컴퓨터 화면에 비친 ‘길고 가느다란 검은 선’을 바라보며 물었다. 아마도 나의 비무장지대 매핑은 이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대화를 유발할 만큼 성공적이었나 보다. 이처럼 나의 매핑 프로젝트들은 어떠한 장소의 가능성을 드러내며 여러 상상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나의 매핑은 나의 창작 활동에서 행해지는 여러 과정 중심 방법 중 하나이다. 나는 이 접근 방식이 현재보다 더 나은 미래를 불러올 수 있는 생산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믿고 있다. 매핑은 나의 연구와 실무 과정에 필수적이고 근본적인 요소이다. 좋은 매핑은 미리 정해진 질문에 대한 해법을 단순히 제공하기보다는 여러 개의 의미 있는 질문이 구체화될 수 있는 여건을 조..

새책/└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2023. 9. 27. 15:25

Architecture Beyond Buildings

[EVENT] Architecture Beyond Buildings Tiki-Taka Publication Launch & Conversation 2022. 5. 11. 6:00 PM – 8:00 PM (EDT) 2022. 5. 12. 7:00 AM – 9:00 AM (KST) 관련 내용 https://www.nyit.edu/events/soad_lectures_events_20220511 기획 및 진행 김동세 / NYIT 건축디자인학과 조교수, axu studio 대표 Architecture Beyond Buildings

새책/└ 프로젝트 티키타카 S2+S1 2023. 9. 27. 14:51

[Interview] KBS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말하는 15분 도시는?

민선8기 제주도정은 15분 도시를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데요. 제주도와의 정책협업을 진행한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15분도시의 지향 가치와 핵심 요소에 대해 요약합니다. 그는 특히 15분 도시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며 중요한 것은 자기 지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근접성과 탄소중립, 다중사용과 행복한이웃 등에 대한 원칙들을 오랜 기간에 걸쳐 자리잡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78141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말하는 15분 도시는?[앵커] 지난 시간 민선 8기 제주도정에서 15분 도시를 추진하는 배경을 전해드렸는데요, 15분 도시 개념을...news.kbs.co.kr 국내에서 가장 먼저 15분 도시를 표방하며 추..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9. 26. 20:47

책 내용 요약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카를로스 모레노 지음, 양영란 옮김. 정예씨 출판사 펴냄. 2023년 2월 10일 출간.  이 책은 현시대 기후위기에 직면한 우리의 생활양식과 공간에 대한 대전환을 요구하며, 그에 대한 해법으로 ‘15분 도시’ 모델을 주장하고 그 개념과 철학을 담고 있다. 독자층 : 도시/건축 전문가(건축/도시/환경/생태계, 부동산/경제/행정/스마트시티/ESG 관련 분야), 건축가, 학생, 시민 활동가 등. 국내 언론보도한겨레신문 [책&생각] ‘시간 도난’ 없고 싶어…삶에 돌려주는 ‘15분 도시’란문화일보 직장도, 집도, 마트도 ‘15분’거리라면 얼마나 행복해질까[북리뷰]동아일보 [책의 향기]도시에도 숨 쉴 공간이 필요하다 조선일보 출근길에서 힘 다 뺐다고? 핵심은 ‘15..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3. 15. 14:14

사람과 환경을 생각하는 도시 개념 - 15분 도시, 30분 영토

사람과 환경을 생각하는 도시 개념 모든 시민이 집에서 도보, 자전거를 이용해 일상적인 니즈와 인프라에 접근할 수 있는 도시 모델 “15분 도시, 30분 영토” –시민(인간)으로서 개인의 일상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6가지 사회적 기능이 요구된다. 즉 주거, 일, 생활재/식료품 공급, 보건/의료, 교육, 문화 등이 충족되어야 한다. (앙리 르페브르가 말한 ‘도시에 대한 권리’에서 확장) 이러한 기능이 충족된 시설에 모든 시민들은 보행, 자전거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 또는 대중교통을 통해 짧은 시간 안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파리의 경우 15분을 추구)    15분 거리에 있는 공간들은 한정적이므로, 한정된 공간에 필요 기능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하나의 장소를 여러 기능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3. 15. 14:14

[Book reviews] 문화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이데일리

[문화일보] 직장도, 집도, 마트도 ‘15분’거리라면 얼마나 행복해질까 [북리뷰] 입력 2023-02-17 08:59 박동미 기자 ‘15분 도시’는 단순히 편의 기능을 근거리에 두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동안 우리가 도시와 맺어온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하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 저자 역시 ‘15분 도시’의 목적에 대해 “근접성이 만남을 독려하고, 각종 분리와 차별에 맞서 싸우며, 취약한 이들이 이웃의 지원 혜택을 더 받을 수 있도록 상호부조·연대·공유·타인에 대한 보살핌을 키워가고자 한다”고 설명한다. 공간과 시간을 분할·분리해 끊임없이 더 빨리 나아가라며 부추기던 도시가, 사회적 유대가 가장 소중한 덕목이 되는 장소로 탈바꿈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정책 입안자, 도시·건축 관련 전문가와 연구..

새책/└도시에 살 권리 - 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2023. 3. 15. 13:1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 46
다음
정예씨 출판사 jeongye-c-publishers.com © Magazine Lab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