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시화, 기후위기, 거대도시에 대한 문제의식과 실천 방식

본문

 

15분 도시의 문제의식 

 

15분 도시 주창자, 카를로스 모레노는 도시화, 기후위기, 탈중심화된 거대도시 출현 등과 같은 일련의 현상을 주요하게 관찰하며 "도시란, 단순히 주거, 이동의 장"이 아니라 "삶의 질, 접근성, 참여를 전제로 한 장"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기존의 도시 설계가 자동차 위주, 기능 분리형(주거/상업/업무 기능이 떨어져 있는)이라는 점을 비판하며, 거리(Distance, 거리감, 거리로 인한 격차)가 생기고 삶이 비인간화된다고 본다.  

"도시에 살 권리"는 앙리 르페브르의 Droit à la ville(도시에 대한 권리)를 계승하며 "도시에서 제대로 살아가기 위한 권리"로 확장된 것이다. 

 

도시에 살 권리-세계도시에서 15분 도시로   

 

도시에 살 권리 | 카를로스 모레노 - 교보문고

도시에 살 권리 |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과 공간을 위한 제언15분 도시, 30분 영토 생활 반경 내에 주거, 일, (생활재)공급, 보건/의료. 교육, 문화 등 여섯 가지 사회적인 기능이 제공되는 다중심

product.kyobobook.co.kr

 

도시에 살 권리를 구현하는 방식  – 15분 도시

카를로스 모레노가 제안한 15 분 도시는 도시에 살 권리를 이루는 중심 아이디어로, “거리를 줄이고, 사람들이 집에서 도보 혹은 자전거/대중교통으로 15분 이내에 일상 필수기능(일, 교육, 쇼핑, 건강, 레저 등)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5분 도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강조한다.   

- 밀도(density): 적정한 인구와 기능이 모여 있는 상태가 시너지를 낼 수 있다.

- 거리/시간의 축소(distance/time reduction): ‘접근성’이 중요하며, 단순히 기능이 있는 곳이 아니라 그것이 ‘가까이’ 있어야 한다.  

- 기능 다양성(diversity) 및 용도 혼합(mixed-use): 특정 구역이 단일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업무·여가 등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 디지털화(digitalisation): 원격 근무/디지털 서비스 등을 통해 물리적 이동을 줄이고 지역 기반의 생활이 가능해져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